빈 국립 오페라 극장은 세계적인 오페라·발레극장으로, 1869년 5월 궁정오페라극장으로 건립하였으며, 191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yW45/btsFIumUqIv/IwioiZHlBxBAh4DVOLQIUk/img.jpg)
개장 기념으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《돈조반니 Don Giovanni》가 공연되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e9D7/btsFJmhSBB3/yZCFvK0toqZIuXERuucMS0/img.jpg)
제2차 세계대전 당시 대규모 폭격으로 손상을 입었으나 전쟁이 끝난 후 1955년 루드비히 베토벤의 《피델리오 Fidelio》를 공연하면서 문을 열었고 건물도 보수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4VBzP/btsFGn267tL/MY6jU15ZK2fjtcVBOWgQKk/img.jpg)
파리의 오페라극장, 밀라노의 스칼라극장과 함께 유럽 3대 오페라극장이며 성슈테판 성당과 함께 빈을 상징하는 2대 건축물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1HOZ/btsFF61BpDj/GmGxbepv8MQuhy0onFuthk/img.jpg)
그러나 공식 개관 전에는 고전·고딕·르네상스 등 여러 가지 건축양식을 혼용한 것 때문에 언론 등으로부터 상당한 혹평을 받아서, 2명의 설계사 중 한 사람은 자살하고 한 사람은 심장마비로 죽었다는 일화가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62is7/btsFJxKevpr/PrpdP4sA27m3olxaH2EWEk/img.jpg)
외관상 웅장하고 화려한 건물이며, 내부도 고블란의 태피스트리와 프레스코화로 장식되어 아름답고 우아하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4M5o/btsFJJRqenI/wgDg86HK98azcHNqawWZx1/img.jpg)
총좌석은 2,209석(좌석 1,642석, 입석 567석)이며, 면적은 718㎡로서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3rRT/btsFGKcJpWy/fg6y8k1kyidXxin1hfBsPk/img.jpg)
매년 300회 이상의 오페라·발레공연이 상연되어 유럽에 있는 오페라하우스 중 가장 공연 횟수가 많으며 7, 8월은 악단이 잘츠부르크 음악제에 나가기 때문에 휴관한다. 매년 대통령 주최로 각국 유명인사들을 초청하여 세계적인 무도회를 여는 장소이기도 하다. A석의 경우 약 120~200유로 정도이나 입석은 커피 한 잔 가격보다 저렴하다. 오전과 오후 두 차례 실내 입장이 허용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8gJA/btsFJ8XIrXQ/nIoZSDDvZK8VADcLpKNEO0/img.jpg)
이곳과 슈테판 성당을 잇는 케른트너 거리는 보행자 전용도로로서 빈의 중심가이자 고급 쇼핑거리이며, 고급상품들이 진열되어 있는 상점들이 즐비하고 역시 보행자 전용거리인 그라벤과 콜마르크트로 이어진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6sAR/btsFHogcDPP/lTrXwqMCijPRC85zDpuUD0/img.jpg)
빈 음악협회(빈 音樂協會, Wiener Musikverein)는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1812년에 설립된 고전 음악 관계자 단체 및 그 본부 건물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wL3TV/btsFGLCFRIC/CJRNEaq1NlYkJW8NfyijiK/img.jpg)
건물은 1870년에 세워졌다. 보통 ‘황금 홀’로 불리며, 빈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주 연주회장으로 사용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FVgPA/btsFJJ4W71l/7kFaPKxB4awVMHEjbKhvPK/img.jpg)
같은 건물에는 자료실과 출판사, 뵈젠도르퍼(피아노 제작회사) 등이 사용하거나 입주해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Tnu0/btsFIittozx/AThuSrvCe7V9NLvf9vskQ0/img.jpg)
빈 음악협회의 회원으로는 19세기의 대 작곡가였던 요하네스 브람스 등이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eghAU/btsFK7jIKe2/IPORDkjmspM8j4Je65Z1M1/img.jpg)
특히 브람스는 협회 주관의 연주회에서 지휘를 맡았고, 작은 홀에서 자신의 피아노 곡을 초연하기도 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ibQD/btsFK4gexaf/Mk6XSRbv2hHiurVdJqVCh0/img.jpg)
이 때문에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37년에 작은 홀을 "브람스홀"로 명명했다. 현재 회원으로 로린 마젤, 알프레드 브렌델 등이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PbOvu/btsFKPQ9qpY/4IowiIHV4u4r7kB02Tfd5K/img.jpg)
카를성당은 오스트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바로크식 건축물 중 하나로, 빈의 중심부인 카를광장에 있다. 18세기 초반 유럽을 휩쓴 페스트가 빈에서 물러나자 이를 축하하기 위해 1713년 카를 6세가 바로크양식 건축가 요한 피셔 폰 에를라흐(Johann Fischer von Erlach)에게 지시하여 1737년 완성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IA02S/btsFKKPSsk0/7B0aLGjpb7K5CqcqoFKBtk/img.jpg)
이탈리아의 추기경이자 가톨릭개혁에 앞장선 성(聖) 카를로 보로메오(Carlo Borromeo)에게 헌정되었다. 에를라흐는 60세 되던 1716년에 바로크 양식으로 건축을 시작하였고, 1737년 그의 아들이 완성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lOTYt/btsFIj0eGQD/DQubFlOK6D0jAjBBUIZHN0/img.jpg)
알프스산맥 북쪽 지역에서 가장 큰 바로크식 성당이다. 타원형 돔 형태로 된 본당의 정면에 기묘한 분위기의 파사드를 배치하는 등, 잘 조화될 것 같지 않은 여러 다른 요소들을 절충·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묘한 조화를 이루며 디자인의 일관성을 잘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bFBy/btsFJILLQQY/dhThDS9Z9SJCOeP92SDFR1/img.jpg)
돔 지붕 형태의 본당은 높이가 72m인데, 바티칸의 성베드로 성당을 본뜬 것이라고 하며, 돔의 푸른색은 천장 내부에서 칠한 것이다. 본당 앞에 좌우로 서 있는 높이 33m의 원기둥은 그리스 신전의 기둥과 비슷한 형태인데 성 보로메오의 삶을 나타낸 것이며 이탈리아 로마의 트라야누스(Trajanus) 기념비를 본뜬 것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pXNeC/btsFJqR3AdW/HBGjUtPtLqFbwURyvjzYYk/img.jpg)
건물 내부의 천장화와 대리석으로 만든 기둥, 벽화 등이 아름답고, 성당 앞의 거리 공간은 20세기 최고 조각가로 꼽히는 헨리 무어(Henry Moore)가 재설계하였다. 빈국립대학교 공과대학이 가까이에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91EZL/btsFIwd1iGi/qbB8R7dMZ6OdtQvDkKxYI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S7Wx/btsFKQbrjjz/9QkiVvvGbRY2Xk3mtagD2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k6Id/btsFJ8pRK9C/K5Jy7LvSl3WhHlroycPKT1/img.jpg)
여행을 마치고 지하철을 타고 호텔로 복귀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iFoXs/btsFKMGS1h7/M2oAo1tFcEDn5YpXOueKK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ro2a/btsFK8wbeEi/BhCW0RCXtZuKGp7iGsQu3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qNi5/btsFJyvBYHZ/GS420gkPFuSisd6YhB7Xvk/img.jpg)
중앙역에 있는 비너발트 매장.
비너발트는 1955년 뮌헨에서 1호점을 연 패스트푸드 체인으로, 헨들(Hendl)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통닭구이와 슈니첼이 주 메뉴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WBPD/btsFGo11U9H/7Ky6I1K41Hzk15MMrocCx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FCsJ/btsFIlcDoNp/No5dYJsg3PnGUNvYkMaPc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v9A6/btsFK1RmCdq/lrXDKgbZlMNzH14gMP06W0/img.jpg)
감자튀김 위에 슈니첼 한조각.
맛있게 먹었지만 소스가 없다는 점이 아쉬웠고 살짝 퍽퍽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56Ts/btsFK7xeZdA/CY6MFDnAZ96vg89peE5Qak/img.jpg)
중앙역에 태국 식당 쏨 키친도 있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EmeOv/btsFJk5rLP3/ni3hp0hC7QjJRWBHuqAES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6GgYQ/btsFJx4w0wK/VfifQJ2jVOxT3qUoCmpXL1/img.jpg)
진짜 맛있게 먹었던 쉬림프 팟타이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