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도사는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위치한 사찰이며,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LWe3o/btsFjWbUsc1/qkVpgBGjdOW8f38ADG8Irk/img.jpg)
한국의 삼보사찰 중 하나이자, 팔대총림 중 하나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4ooJs/btsFhh2fCrM/GUTjr6AKr9bKddkhDkh9wK/img.jpg)
부처님의 진신사리(眞身舍利)가 안치된 적멸보궁(寂滅寶宮)이 있어 불보(佛寶)사찰로도 불린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ETHH/btsFh42xVod/GlusuVLFCBuA4G5sTOmUk0/img.jpg)
삼보사찰 중 나머지 두 군데는 해인사와 송광사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icuS/btsFgPEVhd6/FG4eoNl0RPCIDBWSYfrZq1/img.jpg)
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결정하는 세계유산위원회(WHC)는 2018년 6월 30일 바레인의 수도 마나마에서 열린 제42차 회의에서 한국이 신청한 산사, 한국의 산지승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RKqn/btsFeFiYIFD/65LXpwDhUURb5EfPOulCkk/img.jpg)
우리나라가 등재 신청한 산사는 양산 통도사, 영주 부석사, 안동 봉정사, 보은 법주사, 공주 마곡사 등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cyB3/btsFg3wnhdE/iQkcjy5rMAqnt3NPJC98z1/img.jpg)
특이한 것은 사찰의 역사가 오래되었고, 조선시대부터 보존된 전각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사적으로 지정되지 않았고, 경상남도 기념물로만 지정되어 있을 뿐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IIAsi/btsFeTuMspt/38WTonXdiDDrv8P5uVp5k0/img.jpg)
계율종 중심 사찰이고 자장이 창건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FyU7O/btsFkHZVih4/ab0xs91kwp1REtual4PJn0/img.jpg)
통도사가 있는 곳은 영축산(靈鷲山)이라는 산으로, 석가모니가 설법하던 인도 마가다국 왕사성에 있는 영축산의 모습과 통하므로 그로부터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fAZzR/btsFhfi46iN/rD6ZZ21FSj66MWiGiBqve0/img.jpg)
『통도사사리가사사적약록(通度寺舍利袈裟事蹟略錄)』에 따르면 지금의 통도사 자리에는 큰 연못이 있었는데, 그곳에 아홉 마리의 독룡이 살면서 백성들에게 해를 끼쳤다고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sw4P/btsFhhgP1w0/CyrQZ4y6nnvnhGhU2mgpb1/img.jpg)
삼국시대인 646년(신라 선덕여왕 15년)에 자장율사가 연못에 있는 독룡들을 교화하여 날아가게 했고, 연못을 메운 후 그 위에 통도사를 창건했다고 전해진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Xm0M/btsFhn9aVwJ/79z97skocJjag7CnFToyN0/img.jpg)
자장율사가 독룡을 물리치고 통도사를 창건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0psq/btsFipFtUvN/2GDKkM35saqz5igPqKlbo0/img.jpg)
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유학하던 시절에 중국 우타이산(五臺山)에서 기도를 드리고 있었는데, 이때 문수보살을 만났다고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Fmdh2/btsFf3Q7wUL/kmKbFVVBK1NBIpo2ZroKjK/img.jpg)
문수보살은 자장율사에게 가사 한 벌과 진신사리 1백과, 불두골(佛頭骨), 손가락뼈(指節), 염주, 경전 등을 주면서 "이것들은 내 스승 석가여래께서 친히 입으셨던 가사이고, 또 이 사리들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이며, 이 뼈는 석가모니의 머리와 손가락 뼈이다. 그대는 말세(末世)에 계율을 지키는 사문(沙門)이므로 내가 이것을 그대에게 주노라. 그대의 나라 남쪽 축서산(鷲栖山: 영축산의 옛 이름) 기슭에 독룡(毒龍)이 거처하는 신지(神池)가 있는데, 거기에 사는 용들이 독해(毒害)를 품어서 비바람을 일으켜 곡식을 상하게 하고 백성들을 괴롭히고 있다. 그러니 그대가 그 용이 사는 연못에 금강계단을 설치하고 이 불사리와 가사를 봉안하면 삼재(三災 : 물, 바람, 불의 재앙)를 면하게 되어 만대에 이르도록 멸하지 않고 불법이 오랫동안 머물러 천룡(天龍)이 그곳을 옹호하게 되리라." 라고 말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pKobo/btsFgLJtu4S/9nNowktJm5ShrK8GQHK2KK/img.jpg)
자장율사는 그것을 들고 신라로 귀국하였고, 연못에 와서 독룡 아홉 마리에게 설법을 하니, 독룡 아홉 마리는 곧 교화되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8rcvH/btsFfxdRBK6/TZQ04rckYDab4k6zHOOiY1/img.jpg)
그 중 다섯 마리는 오룡동(五龍洞)으로, 세 마리는 삼곡동(三洞谷)으로 날아갔는데, 오직 한 마리만이 남아서 터를 지키겠다고 굳게 맹세하였으므로 자장율사는 그 용의 청을 들어 통도사에 남도록 했다고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BLDa/btsFgMuPYMr/R0EkMxY2o5K5BWLdfzyrAK/img.jpg)
독룡 아홉 마리가 살던 연못을 메워 금강계단을 세우고 그 안에 중국에서 들고 온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안치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cRYq/btsFeGa5gs8/iXlTxltmjDDRTkZfdVhDuK/img.jpg)
그러나 연못 한 귀퉁이는 메우지 않고 남겨 두었는데, 이곳이 지금의 구룡지로, 마지막 한 마리 남은 용이 있는 곳이라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VnKby/btsFfvtC52R/mFZc3SKirxkmqn7pwOLkzK/img.jpg)
불과 네댓 평의 넓이에 지나지 않으며, 깊이 또한 한 길도 채 안 되는 조그마한 타원형의 연못이지만 아무리 심한 가뭄이 와도 전혀 수량이 줄어들지 않는다고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ddRp/btsFgPSqWkN/B3VKigJXU2zwQOCbydw3Wk/img.jpg)
통도사에서는 이 용을 모시는 가람각을 세워 두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aaaZ2/btsFjLhck7m/Nokq7qzZrZw2dFRdng191K/img.jpg)
통도사라는 절의 이름은 모든 진리를 회통(會通)하여 일체중생을 제도(濟道)한다는 뜻에서 통도(通度)라 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aD7d/btsFfVFEioJ/ChdtK3TpR3kx435KSV6kI1/img.jpg)
신라시대에는 모든 승려들이 통도사 금강계단에 와서 계를 받았고,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이곳의 금강계단을 통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도사라는 이름이 유래된 것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Pu6V/btsFjYguvQl/3TjONP4KJCFD2qwtq17mek/img.jpg)
석가모니의 진신사리가 모셔진 금강계단에서 계를 받는다는 것은 곧 부처로부터 직접 계를 받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통도사는 중요한 곳으로 여겨졌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0ihI/btsFfct4BM1/XQROdt8BQ0EFwo5lVQ2fsK/img.jpg)
현대에도 통도사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직지사 등과 함께 조계종 승려들이 계를 받는 곳 중 하나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oA7k/btsFgOspVvk/QM1RyRKaftU4tINLiKHhWk/img.jpg)
『삼국유사』 「자장정률(慈藏定律)」의 기록에 의하면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유학해서 불법을 배우고 귀국한 뒤 신라의 대국통(大國統)이 되었고, 선덕여왕은 자장율사에게 왕명을 내려 통도사를 창건하게 했다고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niwtL/btsFjHMDqZh/FnnGP1VaxBwpZ4pfbwRgz1/img.jpg)
자장율사는 통도사를 창건하며 당나라에서 귀국할 때 가지고 온 불사리(佛舍利), 금란가사, 대장경 400여 함을 봉안하였고, 금강계단(金剛戒壇)을 쌓아 승려의 규범을 관장, 법식(法式)을 가르치는 등 불법을 널리 전하였다고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5jOo/btsFgrdc1pa/QMD6xexjDM5BQUTkAEukMK/img.jpg)
통도사는 이후 계율의 근본도량이 되었고, 신라의 승단(僧團)을 체계화하는 중심지가 되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Gxtp/btsFkHr5k6i/NduTT5nQUICJQU9qN68Ux1/img.jpg)
창건 당시의 가람은 자장율사가 쌓은 금강계단을 중심으로 몇 동의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YDIu/btsFfxdRBtU/AcVw99T5FTwLWKyxqXSEy1/img.jpg)
행정구역상 양산이지만 양산시내에서는 의외로 가기 힘들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4nIzV/btsFeEj8PkZ/uvvl6rB2tBKclf1ICkvCA0/img.jpg)
통도사행 버스로 11번, 12번이 있는데 12번은 구시가지쪽으로 가기에 양산역 일대에서 이 노선을 타려면 환승이 필요하고 11번 버스의 경우 배차가 30분을 넘어간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m89z/btsFjUrDCmn/AaQcPE83yzAFcL2mArmIg1/img.jpg)
설령 어찌 버스를 탄다해도 통도사가 거의 양산 끄트머리라 아무리 빨리가도 한시간은 넘게 걸린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RWGN/btsFh7yfm06/aDUVVK27m6aYVuQzjt6iNK/img.jpg)
통도사가 양산에 있다고 정말 양산으로 와서 통도사를 가려고 하면 꽤나 고생할 수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1bmL/btsFjWiGbNN/Oixxs1tnmeSKvJ3cMD5zzk/img.jpg)
따라서 외지인이 통도사를 가는 가장 무난한 방법은 노포동터미널에서 부산~통도사~언양 행 버스를 타거나 울산역이나 언양터미널에서 13번 버스를 타고 접근하는 것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EThTf/btsFh5mRT0O/va0jikIYkQOhUwmvJnsUzK/img.jpg)
울산고속버스터미널/울산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올 경우 터미널에서 바로 가는 노선은 없고, 아래에 언급할 1723번과 817번이 인근 정류장에 정차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SAq5/btsFeQx1Z7T/KCCA2qJz5wR9ekKrsBfja0/img.jpg)
언양읍내에도 정차하기 때문에 울산역이 아닌 다른 언양읍내에서 출발한다면 13번과 1723번 중 먼저 오는 것을 타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SgI5/btsFjIreq5h/BYDYnkiYclkMbmrxKnNLc1/img.jpg)
부산광역시 부산종합버스터미널, 김해국제공항에서도 통도사로 가는 버스가 상시 운행한다. 노포동에서 타면 2200원 정도를 내면 되고 김해국제공항에서 타면 4400원 정도면 된다. 노포동발 버스는 통도사신평버스터미널로 가지만 김해공항에서 탄다면 통도사휴게소에서 하차하므로 좀 많이 걷거나 택시를 이용해야 한다. 또 통도사에서 김해공항으로 가려고 한다면 미리 태화공항버스에 연락해야 한다.
주소 :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
운영시간 : 매일 06:30 ~ 17:30
전화번호 : 055-382-7182
'국내여행 > 부산+경상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산] 스카이라인 루지 Skyline Luge - 기장 / 오시리아 관광단지 (0) | 2024.03.08 |
---|---|
[울산] 반구대암각화 / 울산암각화박물관 / 한반도의 선사 유적 / 세계유산 잠정목록 (0) | 2024.02.28 |
[부산] 밀락더마켓 - MILLACK THE MARKET / 밀락당 / 아이스크림 메론빵 / 짱구 팝업스토어 (1) | 2024.02.28 |
[부산] 광안리해수욕장 / 광안대교 / 부산 바다축제 / 부산불꽃축제 (1) | 2024.02.26 |
[울산] 자수정동굴나라 / 국내 최대 동굴 테마공원 / 자수정 동굴탐험 / 놀이동산 / 스포츠 레져시설 (1) | 2024.0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