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복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되어 정궁으로 이용된 궁궐이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83CmQ/btsFgPScJNS/AEbkZexm50e5fbd3Jcyvrk/img.jpg)
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. 도성의 북쪽에 있다고 하여 북궐(北闕)이라고도 불리었다. 조선왕조의 건립에 따라 창건되어 초기에 정궁으로 사용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전소된 후 오랫동안 폐허로 남아 있다가 조선 말기 고종 때 중건되어 잠시 궁궐로 이용되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2WWh/btsFjHMoFEl/cTLbWKZRqLkSkafBIxeC4K/img.jpg)
이성계가 왕이 되어 곧 도읍을 옮기기로 하고, 즉위 3년째인 1394년에 신도궁궐조성도감(新都宮闕造成都監)을 열어 궁의 창건을 시작하였으며 이듬해에 완성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xlXp/btsFeGWg7dV/7FUWBIt7dkZYe5kxKdIicK/img.jpg)
이 당시 궁의 규모는 390여 칸으로 크지 않았다. 정전(正殿)인 근정전(勤政殿) 5칸에 상하층 월대(月臺)와 행랑·근정문·천랑(穿廊)·각루(角樓)·강녕전(康寧殿) 7칸, 연생전(延生殿) 3칸, 경성전(慶成殿) 3칸, 왕의 평상시 집무처인 보평청(報平廳) 5칸 외에 상의원·중추원·삼군부(三軍府) 등이 마련되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GfIr9/btsFh51fB3B/bYnkOmiHgkPK2CyNKcrBx0/img.jpg)
궁의 명칭은 『시경』 주아(周雅)에 나오는 “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만년 그대의 큰 복을 도우리라(旣醉以酒 旣飽以德 君子萬年 介爾景福).”에서 두 자를 따서 경복궁이라고 지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74X68/btsFgQXRKQW/PtX5W5eS0ohsG5klBy0BDK/img.jpg)
정종이 즉위하면서 도읍을 다시 개성으로 옮기어 궁을 비우게 되었으나, 제3대 태종 때 또 다시 환도하여 정궁으로 이용되었다. 태종은 궁내에 경회루(慶會樓)를 다시 지었는데, 연못을 넓게 파고 장대한 누각을 지어 임금과 신하가 모여 잔치를 하거나 사신을 접대하도록 하였으며, 파낸 흙으로는 침전 뒤편에 아미산(蛾眉山)이라는 동산을 만들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qL36/btsFiPw6ZuQ/HC72x8itNeoHZSBQBq08sk/img.jpg)
세종은 이곳에 집현전을 두어 학문하는 신하들을 가까이에 두었으며, 경회루 남쪽에 시각을 알리는 보루각(報漏閣)을 세우고 궁 서북 모퉁이에 천문관측시설인 간의대(簡儀臺)를 마련하였으며, 강녕전 서쪽에는 흠경각(欽敬閣)을 짓고 그 안에 시각과 사계절을 나타내는 옥루기(玉漏器)를 설치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prvo/btsFeTBeFW9/JUfKeUvOmaYBUfuaB1li71/img.jpg)
1553년에는 궁내에 불이 났는데 강녕전에서 불이 나 근정전 북쪽의 전각 대부분이 소실되었다. 이듬해에 강녕전 외에 교태전(交泰殿)·연생전·흠경각·사정전(思政殿)을 복구했다. 그러나 1592년 임진왜란으로 궁은 전소되고 말았다. 이때 창덕궁·창경궁 등도 모두 불에 타버려 난이 끝나고 왕이 환도하였을 때 정릉동의 구(舊) 월산대군가(月山大君家)를 임시 어소(御所)로 정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7EKkQ/btsFegpTbck/crndIlqTqI9a3izLw8jHC1/img.jpg)
궁의 복구 문제는 왜란 직후부터 논의되었으나 실천에 옮겨지지는 못하였다. 선조는 환도한 뒤 경복궁에 가가(假家)라도 지을 것을 명하였고, 1606년에는 궁궐영건도감(宮闕營建都監)을 설치하고 광화문과 근정전 등 주요건물만이라도 우선 지을 계획을 세웠으나, 일부 대신들이 ‘공사가 커서 1, 2년에 끝낼 수 없으므로 후에 일을 시작해야 한다’며 만류하자 실행에 옮기지 못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7Ooz3/btsFh7LwRdV/VNKhXxpz5faQfbjGEZMekk/img.jpg)
여기에다 경복궁이 길(吉)하지 못하다는 의견도 있어서 결국 왜란 후 경복궁 대신에 창덕궁을 재건하기에 이르렀다. 이것은 과거 경복궁에서 단종이 쫓겨난 일이 있고 중종 때에는 조광조(趙光祖)가 사정전 뜰에서 왕의 친국(親鞫)에 이어 사약을 받은 일 등이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. 이후 광해군도 한때 경복궁성을 수축케 하고 중건의 뜻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결국 실현되지 못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7vx0r/btsFgMnPcwt/DryzLTj0iXrS2kPkdN9h2K/img.jpg)
궁의 중건이 완료된 것은 소실된 지 약 270년이 흐른 1867년의 일이다[중건공사 개시: 1865년, 중건공사 완료: 1867년 말]. 흥선대원군 이하응(李昰應)의 강력한 의지로 여느 궁궐의 규모나 격식을 훨씬 능가하는 대규모로 다시 세워지게 되었다. 그 규모는 7,225칸 반이며 후원에 지어진 전각은 융문당(隆文堂)을 포함하여 256칸이고 궁성 담장의 길이는 1,765칸이었다. 궁이 완성되고 나서 1868년에 왕은 경복궁으로 옮겼다. 그러나 이때 조선왕조는 외국 열강들의 세력다툼으로 혼란에 빠져 있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aVOo/btsFferGEm4/Q9FaVhUZi9kcwOCCNgaRlk/img.jpg)
1895년에는 궁 안에서 명성황후(明成皇后)가 시해되는 사건이 벌어지고, 왕은 이어(移御)한 지 27년째인 1896년에 러시아공관으로 거처를 옮겨, 경복궁은 주인을 잃은 빈 궁궐이 되었다. 1910년 국권을 잃게 되자 일본인들은 궁안의 전(殿)·당(堂)·누각 등 4,000여 칸의 건물을 헐어서 민간에 방매(放賣)하고, 1917년창덕궁의 내전에 화재가 발생하자 경복궁의 교태전·강녕전·동행각·서행각·연길당(延吉堂)·경성전·연생전·인지당(麟趾堂)·흠경각·함원전(含元殿)·만경전(萬慶殿)·흥복전(興福殿) 등을 철거하여 그 재목으로 창덕궁의 대조전·희정당 등을 지었다. 궁전 안에는 겨우 근정전·사정전·수정전(修政殿)·천추전(千秋殿)·집옥재·경회루 등과 근정문·홍례문·신무문(神武門)·동십자각 등이 남게 되었으며 정문인 광화문도 건춘문 북쪽으로 이건하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odSQ/btsFhifv1F7/OH7WzHaMn36bmqFBcmqnk0/img.jpg)
또한, 궁의 중심건물인 근정전 정면 앞에 매우 큰 석조건물인 총독부청사를 지어 근정전을 완전히 가려 버렸다. 이 밖에 자선당 자리에도 석조건물이 들어서고 건청궁(乾淸宮) 자리에는 미술관을 지어 궁의 옛 모습을 거의 인멸시켰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AGyd/btsFiN66x61/KEgN1stTg1KoFg3QAcqOSK/img.jpg)
1945년 광복 후 궁은 공원으로 개방되는 한편, 일인(日人)들이 지었던 총독부청사는 정부종합청사로 활용되다가, 1971년에 궁의 동북 담장 가까이에 지어진 목조기와건물 모양의 철근콘크리트 건물에 들어있던 국립박물관이, 1986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명칭을 고치면서 이 건물로 이건되었다. 구 총독부청사는 1995년 8·15광복 50주년을 맞이하여 철거되었으며, 이 자리에 원래 있던 흥례문 권역이 2001년 10월 복원·낙성되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3SIa/btsFgQje2Xq/2MnRafb3jdnnt2Vpi9AC40/img.jpg)
한편, 일제에 의해 건물이 훼철되는 피해를 입은 경복궁을 복원하는 공사가 1991년부터 침전·동궁·흥례문·태원전·광화문 등 5개 권역으로 나누어, 20년에 걸쳐 5단계로 진행되었다. 이로써 고종 당시 지어진 건물의 40%가 복원되고, 일제에 의해 철거되었다가 1968년에 철근콘크리트로조 지어졌던 광화문도 원래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E9pq/btsFeF35Mdf/xv6PFxkXo6fW0dLkc7NRy1/img.jpg)
경복궁의 주요건물 위치를 보면 궁 앞면에 광화문이 있고 동·서쪽에 건춘(建春)·영추(迎秋)의 두 문이 있으며 북쪽에 신무문이 있다. 궁성 네 귀퉁이에는 각루가 있다. 광화문 안에는 흥례문이 있고 그 안에 개천(開川) 어구(御溝)가 있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나간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9PwGj/btsFfxEGsU2/quMXYLqHxcq94R2YrtbKR1/img.jpg)
어구에 돌다리인 금천교(禁川橋), 곧 영제교(永濟橋)가 놓여 있고 다리를 건너면 근정문이 있으며 문을 들어서면 정전인 근정전이 이중으로 높이 쌓은 월대 위에 우뚝 솟아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61td/btsFhimh293/GKH6CboKI9732T7O3kEUK0/img.jpg)
근정전 뒤의 사정문을 들어서면 왕이 정사를 보는 곳인 사정전이 있고 그 동·서쪽에 만춘전(萬春殿)·천추전이 모두 남향으로 놓여 있다. 사정전 뒤 향오문(嚮五門)을 들어서면 정면에 연침(燕寢)인 강녕전이 있고 그 앞 동서 양쪽에 연생전·경성전이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0FH6w/btsFeeeBBek/DVlIFW9zZ5TPIWvaO39mq0/img.jpg)
강녕전 뒤에는 양의문(兩儀門)이 있고 문 안에 왕비가 거처하는 교태전이 있으며 잇대어서 동쪽에 원길헌(元吉軒)·서쪽에 함광각(含光閣)·동북쪽에 건순각(健順閣)이 있다. 그 뒤로는 후원이 전개되어 소나무가 우거지고 연못·정자 등이 여기저기 자리 잡고 있다. 흥례문으로부터 이곳까지에는 동서로 낭무(廊廡)가 각 건물을 둘러싸고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vdiC/btsFg2YddI0/RhIi0teZ3UeqNzToWPW5R1/img.jpg)
이밖에 궁 서쪽에 수정전이 있고 그 위에 경회루가 있는데 수정전은 의정부 청사로 쓰였던 곳이며, 경회루는 임금과 신하들이 모여 잔치를 베풀던 곳이다. 또한 건춘문과 영추문 안에도 수많은 건물들이 들어차 있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GSl8B/btsFh5toDW2/KkIZlNOwNKzR3uxHJ3xt5K/img.jpg)
현재 궁내에 남아 있는 주요건물은 근정문·근정전·사정전·천추전·수정전·자경전·경회루·재수각·함화당·향원정·집옥재·선원전 등이며, 복원된 건물은 강녕전·자선당·태원전·광화문 등이다.
주소 : 서울 종로구 사직로 161 경복궁
전화번호 : 02-3700-3900
'국내여행 > 서울+경기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서울] 국립중앙박물관 - 용산 / 가볼만한곳 / 주차 안내 / 주차 요금 (2) | 2024.02.26 |
---|---|
[서울] 대한민국역사박물관 -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/ 우리가 사랑했던 [], 그리고 한류 (0) | 2024.02.26 |
[서울] 청와대 - 국민 품으로 / 본관 / 영빈관 / 오시는 길 / 청와대 관람 순환버스 / 서울시자율주행버스(청와대A01) (1) | 2024.02.26 |
[이천] 테르메덴 - 한국 최초의 독일식 온천리조트 / 숲속의 노천온천 / 온천 / 스파 / 찜질방 (0) | 2024.02.26 |
[시흥] 오이도빨간등대 / 함상전망대 / 노을의 노래 전망대 / 빨강등대 / 전통수산시장 / 오이도 (0) | 2024.02.25 |